본문 바로가기

Hot Issue

2017년 11월 - 포항 지진과 양산단층 활성화 문제

 

포항 지진과 양산단층 활성화 문제

 

 

양산단층(梁山斷層)은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경상남도 양산시를 거쳐 부산광역시에 이르는 영남 지방 최대 단층대입니다.
양산단층은 너비 1km, 길이 약 170km의 규모인 대단층입니다.
양산단층은 동해의 후포단층과 함께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변환단층 중 하나이다.
변환단층은 보존형 경계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단층인데, 변환단층 주변지역에선 보통 화산활동이 없지만 진원지가 지하 100Km 이내인 천발지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양산단층의 활성 단층 여부

양산단층 부근 지역은 옛 조선시대에도 큰 지진이 발생했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1643년 인조 때, 울산에서 땅이 갈라지고, 물이 솟구쳐 나왔으며 지진해일이 발생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1681년 숙종 때에도 큰 지진이 발생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 당시의 지진 규모는 6.5 이상의 강진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지난 12일 경주 인근에서 규모 5.0 이상의 지진이 연달아 발생하기 전까지 양산단층은 활성단층도 비활성단층도 아니었다. 양산단층의 활성화 여부를 두고 30년 넘게 논쟁이 끊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논쟁이 계속된 데는 인근에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지 않았던 이유도 있지만, 제대로 된 조사가 이뤄지지 못한 게 근본 원인이다. 활성단층 연구가 주로 원자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지질조사 차원에서 이뤄진 점도 한계로 꼽힌다.


관련 논쟁이 계속된 것은 양산단층 인근이 원전 밀집 지역인 것과 무관치 않다는 지적도 있다. 70년대 후반 첫 번째 원전이 건립된 후 활성단층 문제가 불거지면서 원자력업계뿐만 아니라 학계에서도 활성단층 논의가 조심스러워진 측면이 있었다는 것이다. 실제 95년 굴업도 핵폐기장 예정 부지 인근 해저단층은 단 6개월여의 조사 끝에 활성단층으로 밝혀졌다.

특히 국내 활성단층 연구가 원전 부지 선정을 위한 지질조사 차원에서 주로 이뤄져 관련 연구가 객관성을 얻기 힘들었다는 주장이 있다. 민간에서 예산이나 인력 부족 등으로 대규모 연구를 하기 힘든 상황에서 원자력업계가 주도한 연구용역 결과가 주로 반영돼왔다는 지적이다. 부지 선정 시 참고하는 활성단층 기준 역시 미국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어 국내 지질 환경과 맞지 않다는 문제제기도 있다.

이에 따라 이번 지진을 통해 활성단층 관련 예산을 확충하고 국가 차원의 대규모 조사가 뒤따라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습니다.